KWC 수소 리포트

#48 중국 수소 경제 정책 및 양국 협력 방안

페이지 정보

2022.04.26 / 96

본문

 

안녕하세요. 케이워터크레프트 입니다.

오늘은 중국 수소 경제 정책에 대해 알아보고

양국이 협력하여 기후위기에 적극 대응해

수소 산업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합니다.

중국은 2019년을 기준으로 최대 탄소 배출국이었으나

2020년 9월 22일 제75차 유엔 총회에서

2060년 탄소중립 달성을 선언했습니다.

중국의 경우 재생에너지와 수소에너지로의 전환으로

탄소중립을 실현하고자 하고 있으며

현재 중국의 수소 생산량은 연간 2천5백만 톤

정도가 됩니다.

이는 전 세계 수소 생산량의 30퍼센트 정도 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2천 5백만 톤의 수소 중 친환경 수소는

10만 톤 정도 밖에 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이 그레이 수소인 것입니다.

그레이 수소의 생산량이 많다 해 걱정할 필요가 없죠.

그레이 수소의 생산량이 많다는 것은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수요와 공급 법칙에 따라 그레이수소가

많이 사용된다는 것은

중국 내 공업 과정 중에서 꾸준히 수소의 수요가 발생해

수소 에너지에 대한 인프라가

좋은 나라임을 이야기해 줍니다.

그렇다면 중국은 어떻게 그린수소의 생산량을

증가할 수 있을까요?

그린수소를 만들 때 고려되어야 할 부분은

전력비용과 전해조 가격입니다.

이 두 개의 문제가 해결되어야지

수소 에너지의 단가가 낮아집니다.

최근 중국은 태양광 분야에서 재생에너지 산업을

이끌고 있습니다.

태양광을 이용해 그린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

우리는 주목해야 합니다.

중국은 세계 최대 재생에너지 설비 보유국으로

발전 단가가 빠르게 하락 중이며

10년 동안 풍력은 40% 태양광은 90% 정도

단가 하락이 나타났습니다.

특히 태양광 가격의 절반 정도는 3년간 급진적으로

발전단가가 낮아져

올해는 최초로 중국의 태양광의 단가가 석탄보다

낮아질 것으로 예상될 정도입니다.

이것은 태양광이 전력가격 측면에서 효율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며 또한 중국은 10년 전부터

수전해 기술 연구하며 대부분 기술에서 국산화 시현을

했음에 주목해야 합니다.

태양광과 수전해 방식을 통해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가장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생산된 그린수소는 전력 가격 측면에서 뛰어난 효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 됩니다.

중국의 수소 생산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만들어진 수소를

국내로 도입한다면

수소를 저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우리나라의 수소 경제가 자립할 수 있는 요건이 갖춰지게 될 것입니다.

중국과 함께 태양광, 풍력 등의 재생에너지

발전 프로젝트를 진행해

그린수소를 생산하고 프로젝트에서 생산된 수소는

우리나라 주력 시장인 수소 활용 분야에서

응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수소 승용차와 발전용 연료전지 분야는

국내 기업이 선두를 달리고 있는 만큼

중국과 함께 수소차, 수소발전소 사업을 진행하며 기술 개발을 통한 시장 확대를 이루어 낼 수 있을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초자치단체의 이격거리 규제의 영향으로 입지규제가 늘어나고 있어

농촌지역의 태양광사업 활성화를 기대하는 것은

어려운 상황입니다.

신재생에너지원 중 에너지 강도가 크고 발전량이 많은

해상 풍력의 경우에도

여러 가지 규제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중입니다.

이러한 점에서 재생에너지가 활발히 응용되고 있는

중국과의 프로젝트는

서로의 기술력을 보완해 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수소는 아직 우리가 경험해 보지 못한

낮선 에너지 분야입니다.

이제 막 걸음마 단계를 떼는 과정에 있지만 21세기의 시작은 수소에너지 시장이 급성장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전 세계는 탄소중립을 위해 끊임없이 연구하고 있습니다.

수소에너지는 화석연료를 이어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을 열 것이고

국가는 수소 경제로의 전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대비해야 합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중국과 대한민국의 수소 프로젝트는 탄소중립을 좀 더 앞당길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중국의 수소 생산 기술과 대한민국의 수소

활용 기술이 만난다면

두 나라는 수소 경제의 핵심 국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자료:2050 수소에너지